윈도우10에서 색보정 기는은 언제 사용할 수 있을까요??
게임의 그래픽 설정을 잘못할 경우, 미디어 플레이어 프로그램을 잘못 사용할 경우, 방의 구조가 변경되어 디스플레이의 밝기나 색상이 평상시다를 때 우리는 색보정 기능을 통해 화면 밝기 조절이나 감마값, 명암 그리고 색감 등을 세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은 윈도우10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윈도우7, 윈도우8에서도 색 보정 기능의 위치는 크게 차이 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그러면 윈도우10 에서 모니터 색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???
윈도우10 색보정하는 방법
▲먼저 윈도우10 바탕화면에서 우클릭하여 디스플레이 설정을 선택합니다.
▲디스플레이 설정에서 하단에 위치한 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.
▲고급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에서는 모니터가 연결되어 있는 그래픽카드, 바탕화면 해상도, 새로 고침 빈도(Hz), 색 형식, 비트 수준 등의 여러가지 모니터 화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색보정을 위해 디스플레이 1의 어댑터 속성을 표시를 선택합니다.
어댑터 속성에는 어댑터, 모니터, 색관리 이렇게 총 3가지 탭이 있습니다. 여기서 색 관리 탭을 선택하여 색 관리를 선택합니다.
색 관리 설정에서 고급 탭을 선택한 뒤, 디스플레이 보정 버튼을 클릭합니다.
여기서 부터 직접적으로 색 보정을 진행합니다. 디스플레이 보정 방법을 참고하여 내 PC의 모니터의 색감을 조정하시면 되는데요. 디스플레이 보정 방법을 참고 한뒤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.
여기서도 한번 쭉 읽어보시고 다음
감마 조정 방법에서는 감마값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. 여기서 다음 버튼을 누르게 되면 직접 감마값을 조정하는 단계입니다. 기준을 살펴보기 위해 다시 뒤로 되돌아 올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이 전 페이지에서 보았던 감마 조정 방법에서 적당한 감마 기준의 색상과 비슷하게 설정한 뒤에 다음 버튼 클릭
디스플레이 밝기 및 대비에 대한 설정입니다. 이 부분에 대해서 문제가 없다면 건너뛰셔도 되고, 설정을 위해 다음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.
감마값을 조정하는 것보다 기준이 많고 복잡합니다. 실제로 모니터 화면 색상을 체크할때도 이 색상이 맞는건가? 본인의 눈을 의심하기도 하는데요. 기준을 살펴본 뒤 다음버튼을 눌러주세요.
저는 위와 같이 녹색과 파란색 값을 한칸씩 내렸습니다. 사용하고 계신 모니터와 이전 페이지 기준을 살펴보면서 조금씩 조정하면 됩니다.
보정이 완료되면, 색보정 이전과 색보정 이후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. 여기서 마침을 선택하면 ClearType 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.
ClearType 텍스트 튜너에서는 리스트에 나열된 텍스트 타입을 보고, 본인의 모니터에서 가장 선명하고 또렷한 텍스트를 선택하면 됩니다.
이렇게 윈도우10에서 색보정을 해보았는데요. 저같은 경우 노트북을 구입하고 초기값으로 계속 사용했었는데, 색보정을 통해 조금 더 제 눈에 잘맞고 제가 사용하는 환경에서 더 적합하게 색보정을 하였더니, 모니터 화면이 훨씬 선명해졌습니다. 앞으로 PC나 노트북 구매시 윈도우에서는 위와 같은 작업을 필수적으로 진행해야겠네요!